들어가며
※ 주의
MHW Overlay는 보스의 HP, 누적 데미지, 플레이어의 DPS 정보 등 게임에서 정식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은 정보를 알려주는 Mod 입니다.
Mod는 나 또는 다른 멀티 플레이어의 흥미를 깨드릴 수 있으며, Capcom은 Overaly Mod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은 바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, 사용할지 말지에 대한 판단과 그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지셔야 합니다.
설치 방법
1. 파일 다운로드
MH Wilds Overlay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의존성 모드를 먼저 설치해야합니다.
Nexus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. 회원가입 후 아래 파일을 모두 다운받습니다.
https://www.nexusmods.com/monsterhunterwilds/mods/93
REFramework
Modding tool/framework with a powerful scripting API using Lua. Comes with fixes for DLLs/ReShade crashing, performance fixes, FreeCam, Timescale, FOV, Ultrawide, and tools for script/mod develo
www.nexusmods.com
https://www.nexusmods.com/monsterhunterrise/mods/134?tab=files
REFramework Direct2D
An REFramework plugin that adds Direct2D scripting APIs. Requires at least version 1.5.4 of REFramework.
www.nexusmods.com
https://www.nexusmods.com/monsterhunterwilds/mods/65
CatLib
A collection of shared utility scripts for my mods.
www.nexusmods.com
https://www.nexusmods.com/monsterhunterwilds/mods/81?tab=description
MHWilds Overlay
Overlay, Boss HP, DPS, Stats.
www.nexusmods.com
2. 압축 해제 후 순서대로 넣기
압축을 해제한 후 몬스터 헌터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 파일을 알맞게 넣습니다.
예시로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 이 위치에 게임이 설치되어 있다는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.
1) REFramework 폴더 내 dinput8.dll 파일을 몬스터헌터 설치 위치에 넣습니다.
->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dinput8.dll
2) REFramework-D2D 내 reframework 폴더를 몬스터헌터 설치 위치로 옮깁니다.
->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
3) CatLib은 압축을 풀면 _CatLib\reframework\autorun 내에 또 _CatLib 폴더가 있습니다. 이 _CatLib 폴더를
위의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\autorun 폴더 내로 옮깁니다.
->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\autorun\_CatLib
4) MHWildsOverlay 압축을 풀면 MHWilds Overlay 폴더내에도 reframework\images와 reframework\autorun 가 있습니다.
images내부 이미지들은
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\images에 옮겨줍니다.
images 폴더가 없다면 images 폴더를 만들거나 통째로 옮깁니다.
이 이미지는 오버레이에서 무기나 공룡 아이콘을 표시하는데 쓰입니다.
그다음 아까 압축을 해제한 MHWildsOverlay 폴더 내 reframework\autorun 안에 mhwilds_overlay.lua 파일과 mhwilds_overlay 폴더가 있는데 이 두개도 위와 동일하게 옮겨줍니다.
->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\autorun\mhwilds_overlay.lua
-> E:\SteamLibrary\steamapps\common\MonsterHunterWilds\reframework\autorun\mhwilds_overlay
3. 게임 실행 후 설정 바꾸기
이제 게임을 실행합니다. 오버레이는 키보드의 insert 키로 끄고 켤 수 있습니다.
뭔가 잘 안되면 ScriptRunner에 Reset Scripts 를 누릅니다. 눌렀을때 에러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위치를 잘못 넣었을 수도 있습니다.
Script Generated UI의 MHWilds Overaly 를 통해 오버레이 표시 여부, 폰트, 위치등을 설정할 수있습니다.